티스토리에 애드센스(구글광고) 삽입의 모든것
0. 먼저 이것부터 알고 가세요
한 번에 알려드립니다.
참고로 저 역시 컴맹이나 무수히 많은 실패와 고난 역경을 이겨내고... 광고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쉽습니다.
용어는 그냥 그런 게 있구나~라고 넘어가시고 하라는 대로만 하면 한방에 가능합니다.
check 1. 구글 애드센스 정책 주의사항 파악하기
자신의 블로그에 올라간 광고를 클릭해서는 안됩니다. 계정 정지 사유가 되는 일들은 시도조차 하지 마세요.
저 역시 pc방에서 제 블로그 광고를 클릭했다가 영구정지를 당해서.. 아직도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항상 자신의 블로그 광고 클릭은 절대 하지 마세요.
check 2. 단발성 마구잡이 콘텐츠 보단 규칙성 있는 콘텐츠 선정
이런거에요 실검 혹은 이슈를 예상하고 먼저 블로그를 작성하면, 방문자수가 급증하긴 합니다.
하지만, 그때 일뿐 그 시간이 지나면 인터넷에 있는 수많은 쓰레기 중 하나로 전락합니다.
꾸준히 방문해 줄 수 있는 콘텐츠로 승부하세요.
check 3. 검색엔진은 모두 등록하기.
제가 알고 있는 검색엔진은 이렇습니다.
1) 네이버 검색엔진
2) 다음 & 네이트 검색엔진 ( 두 검색엔진은 동일합니다. )
3) Google 검색엔진
4) Bing 검색엔진
5) Zum 검색엔진
요점만 말하면,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개설하면 다음과 네이트에 저절로 글이 등록됩니다.
하지만 나머지 홈페이지에는 자신의 블로그 글이 검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각각의 검색엔진의 '웹마스터 도구'에 자신의 홈페이지를 등록시켜야 합니다.
구글 광고가 나오기 위해서는 선결 과정입니다.
1. 자신의 블로그 스타일을 반응형으로 선택하고 홈페이지 메뉴를 선정합니다.
요즘 블로그는 pc에서 찾는 사람뿐만 아니라 핸드폰으로 찾는 사람도 많아졌으며, 특정 콘텐츠는 핸드폰으로 방문하는 비중이 상당합니다. 그런데 본인의 홈페이지가 반응형이 아니다? 블로그 안 하겠다는 겁니다. 반응형은 어려운 것도 아니고 그냥 블로그 SKIN 설정 시 반응형 SKIN으로 선택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솔직히 예전에 워드프레스로 홈페이지를 운영할 때는 설정해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었는데, 티스토리는 신세계입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이 정도면 훌륭합니다.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 첫 번째 자신의 블로그 SKIN을 반응형으로 선택한다. 잊지 마세요.
그다음 홈페이지 메뉴 선정입니다. 이것도 써보고 싶고, 저것도 써보고 싶어서 메뉴를 지나치게 많이 늘리면 오히려 손해입니다. 처음에는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메뉴'만 운영을 하세요. 메뉴가 많다고 홈페이지가 좋아지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나오게 될 때, 메뉴마다 광고 설정을 다르게 해줘야 하고 복잡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자신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블로그를 작성하고 싶으면 C++, C, 자바 뭐 이렇게 세세하게 카테고리별로 메뉴를 만드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컴퓨터' 이걸로 메뉴 하나 만들고 카테고리만 세 부분으로 나누면 됩니다. 지금 메뉴와 카테고리가 이해가 안 가시는 분들도 있을 텐데요. 1 메뉴에 1 카테고리가 원칙이라고 생각하시고 처음에는 '컴퓨터'라는 아주 큰 주제로 접근하세요. 이게 세분화시키면 오히려 메뉴텝이 낭비가 되고 메뉴텝을 나중에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그때마다 모든 '웹마스터 도구'를 수정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애써 모은 방문자들도 날아갈 수도 있고 오류도 생길 수 있어요. 꼭 그런 건 아니지만, 메뉴가 한번 정해지면 추가/변경/삭제는 안 하시는 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처음 블로그를 만들 때 이 부분을 신경을 가장 많이 쓰세요. 그리고 메뉴 추가보단 오히려 블로그를 하나 더 만드는 게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2. 모든 검색엔진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합니다.
Step 1. 검색엔진 웹마스터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기
1)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내 홈페이지 등록하기
2)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내 홈페이지 소유주 확인하기
3) 등록된 홈페이지에 RSS 등록
4) 등록된 홈페이지에 사이트맵 등록
5) 등록된 홈페이지에 robots.txt 등록
RSS
먼저 RSS에 대해 잠깐 설명하면, 자신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지 않아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 엥?? 먼 X소리지? ) 쉽게 설명하면, BEST글 이라던가 다른 사람들의 홈페이지에서 비슷한 주제나 내용이 하단에 게시가 되는데, 그게 저는 그걸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 아닐 수도 있는데... 그냥 그렇게 이해합니다. ) 크롤링이랑은 좀 다른 개념이고 외부에서 내 홈페이지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갑시다.
사이트맵
이건 여러 가지로 설명이 가능한데, AI한테 우리 홈페이지는 이렇게 생겼으니까 사이트맵 잘 보고 내 홈페이지 제대로 크롤링해줘!라고 저는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이트맵을 올릴 수도 있지만 보통 대부분 '사이트맵 생성기'를 이용해서 사이트맵을 등록합니다. 그리고 먼저 말했지만 메뉴와 홈페이지 구성이 바뀌었다면? 당연히 전에 만들어둔 사이트맵이 무쓸모가 되기 때문에 그때마다 사이트맵을 다시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러니 뭐다? 자꾸 홈페이지 구성과 메뉴 등을 바꾸지 말고 한번 사이트 맵등 록시 최종적인 블로그 구성을 마치고 등록을 해야 합니다.
robots.txt 등록
사이트맵이랑 비슷하지만 좀 다른 개념인데요. 크롤링하는 봇에게 여기는 되고, 여기는 안되고 이걸 알려주는 안내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개인정보를 잔뜩 써놨는데, 그런 건 보여주기 싫잖아요? 그럼 로봇한테 거긴 안돼!라고 할 수도 있고, 뭐 그런 기능인데, 우리가 알아서 쓰나요? 그냥 있는 거 카피해서 쓰면 되니까 어렵지 않습니다.
대충 의미는 설명드렸고, 그러면 이제 등록을 해보도록 합시다. 지금 등록해볼 검색엔진은 '네이버'와 '구글'인데요. 가~ 봅시다.
[ 네이버 ]
[1].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고 소유주 확인하기
https://searchadvisor.naver.com/console/wmt/board 앞의 링크를 타고 가셔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하신 뒤에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세요. 등록하려고 하면, 아래와 등록하고자 하는 블로그가 본인 것이 맞냐?라는 소유주를 확인하게 됩니다. ( 당연한 거 아니겠어요? 제가 남의 홈페이지 주소만 알고 있다고 저게 가능하다면 안 되겠죠? 그래서 홈페이지의 주인과 네이버만 주고받는 암호를 본인의 홈페이지에 넣어주는 것으로 소유주 확인을 대신합니다. )
그냥 사이트 추가에 본인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곧장 아래 그림처럼 소유주 확인 화면이 나옵니다. 그러면 그 '메타테그'를 복사한 뒤 자신의 블로그 에다 붙여 넣어야 합니다. 약간의 편집이 있는데 그리 어렵진 않습니다. HTML 업로드 방식, 메타테그 방식이 있는데, 메타테그 방식이 오히려 간단하고 쉽습니다.
등록하고자 하는 자신의 티스토리 홈페이지의 관리자 화면에서 [스킨 변경]>[html 편집] 그리고 <head> 밑에 바로 저 메타 테크를 붙여 넣어주세요. 아래와 같이요.
특히 html 편집은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적용을 하시고,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확인을 하신다면 <그림 1>에서 처럼 자신의 홈페이지가 등록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RSS를 등록해 봅시다.
[2] RSS 등록
그냥 본인의 홈페이지 주소에 /rss 입력하신 뒤 확인을 누르시면 위 <그림 5>처럼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글이 하나도 없으면 등록이 안됩니다.
[3] 사이트맵 등록
바로 등록해 보도록 해 봅시다. 사이트맵을 생성해주는 여러 홈페이지가 존재하는데요. 저는 요 녀석으로 하겠습니다.
링크를 타고 가셔서, 아래 그림대로 체크하신 뒤 생성해 주세요. http://www.check-domains.com/sitemap/index.php 이 녀석입니다. 중요 포인트는 Monthly -> Always로 변경해주세요.
영어울렁증 있으신 분들은 그냥 'Create Sitemap' 왼쪽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 입력 후 Create Sitemap 눌러주세요. 영어 조금 아시겠다 싶으신 분들도 깝 노노 하시고 그냥 저대로 해서 Create Sitemap 눌러주세요. 자신의 블로그 게시글이 많으면 많을수록 오래 걸리고요, 적으면 1분 안에 그냥 후다닥 끝납니다. 혹시라도 본인의 메뉴 구성 및 뭐 기타 자잘한 게 변경되면 이 작업을 다시 해줘야 합니다. 아무튼 이거 끝나면 아래 화면에서 xml sitemap을 다운로드해주세요. 참고로 바탕화면에 다가요!!!
XML sitemap 에보시면 Download 눌러서 다운로드해주시고요. 바탕화면에다 다운로드해주세요. 어디 갔는지 또 헤매지 마시고요. 크롬 쓰시면 그냥 아래 창에 다운받은파일 뜨는 걸 긁어서 바탕화면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조금 많이들 헤미이시는데, 밥입니다. 흔히 많이들 하시는 실수가 티스토리 편집기 버전 문제인데요.
Point 1. 티스토리 편집기 버전은 (구) 옛날 버전으로 잠시 설정합니다.
위 설정으로 변경해 주신 다음에 다음 과정을 진행해 주세요.
Point 2. 티스토리 비밀 글쓰기로 sitemap.xml 내용 복사해서 등록
글쓰기를 해주시고, 파일 추가로 바탕화면으로 다운로드한 sitemap.xml을 추가해주세요.
그리고 비밀글로 발행을 하시면 됩니다. 비밀글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지우면 되기 때문에 별 상관없습니다.
Point 3. 글 관리 -> sitemap.xml 우클릭 -> 링크 주소 복사 -> 메모장에 붙여 넣기
링크 주소 복사 후 메모장에 붙여 넣을 때 파일 이름이 다음과 같으면 성공입니다.
자신의블로그주소/attachment/cfile23.uf@/블라블라.xml
이후 attachment/cfile23.uf@/블라블라.xml 이 부분을 아래와 같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의 siltemap.xml 에 붙여 넣으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주의하실 것은 해당 파일 이름이 위와 같지 않은 경우는 링크 주소 복사 시 (구) 편집기를 사용하지 않을때 발생하기 때문에 꼭 (구)편집기를 이용해주세요.
[4]. robots.txt 등록
자 드디어 마지막입니다. robots.txt 는 검색엔진 봇들이 내 홈페이지에 어느 정도까지 볼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꼭 네이버만 허용할 것이 아니라 다른 검색엔진의 봇들도 허용 가능하도록 해두면 좋겠죠(?) 그래서 아래와 같이 해줍시다.
위와 같이 바탕화면으로 다운로드하면 robots.txt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제 이것을 내 티스토리에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우선 <그림 3>처럼 html 편집을 들어가 줍니다. 이후 아래 < 그림 13 >처럼 바탕화면으로 다운로드한 robots.txt 파일을 추가해 줍시다. 화면에서 제가 실수로 추가 버튼이 안 보이게 캡처했는데, 그 정도는 알아서 '추가'버튼 찾아서 누를 수 있죠??
이후에 '적용' 하시고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 그림 12 >에서 확인 버튼 잇죠?? 그거 눌러서 수집이 가능한 상태라고 메시지가 확인되면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등록하는 과정이 모두 끝나게 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와 달리 구글은 더욱 쉽게 등록이 가능합니다.
[ 구글(Google) ]
[1]. Google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고 소유주 확인하기
네이버와 비슷하지만 더욱 쉽습니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console/wmt/board 앞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셔서 '속성' 추가 후 네이버등록한것처럼 그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 티스토리의 html 편집방법은 <그림3>, <그림4>를 참조해주세요. )
메타테크 복사해서, 티스토리 [html편집] > [<head>뒤에 복사한 메타테그 붙여넣고 적용] 이러면 끝납니다. 쉽죠?
[2]. Google 웹마스터 도구에 'Sitemap.xml 등록' 하기
마지막입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등록했을때 처럼 Sitemap.xml 의 내용을 복사해서 필요한부분만 붙여넣어주시면 끝나게 됩니다.
이건 너무 쉽죠?? < 그림 10 > 내용을 참조해주세요.
그러면 Google은 끝나게 됩니다.
자 ! 여기서 정리를 좀 해봅시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 티스토리 소유권확인, RSS등록, Sitemap.xml 등록, robots.txt 등록
Google 웹마스터 도구 : 티스토리 소유권확인, Sitemap.xml 등록
기왕 한거 나머지도 위방식과 고대로 하시거나 더 쉽습니다.
Bing 웹마스터 도구 [ https://www.bing.com/toolbox/webmaster?mkt=ko-kr ] : 로그인후 진행
Zum 웹마스터 도구 [ http://help.zum.com/submit ] 신규등록 후 한 5개항목 그냥 적기만하면 끝납니다.
다른 검색엔진은 필요에 따라서 더 추가하시면 되구요.
여기서 부터 본인과의 싸움이 시작됩니다.
처음에 방문자수가... 암담할겁니다.
저도 그랬는데요.
요즘은 그래도 하루에 200명 정도는 찾아주시는것 같아요.
블로그 글을 10가지 정도 올려주시면 이제 드디어 AD고시를 치루러 갑시다.
솔직히 여기는 더 설명이 필요가 없을것 같습니다.
1) 티스토리 html 편집 할줄 아시죠? | < 그림 4> 참조
2) 애드센스 홈피 들어가서 ( 구글아이디 만들고 | https://www.google.com/adsense/ )
3) 소스코드 붙여넣으라고 하는데, 그걸 1)에서 html 편집화면에서 <head> 밑에 붙여넣어주세요. | < 그림 4 > 참조
그러면 끝납니다. 보통 문제없다면 3일이내에 광고가 시작됩니다.
추가 TIP은 다음에 더 보안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